티스토리 뷰
목차
2012년 tvN에서 방영된 응답하라 1997은 대한민국 최초의 본격적인 복고 감성 청춘 드라마로, 1990년대 후반을 배경으로 한 고등학생들의 성장과 사랑, 우정을 그린 작품입니다.
H.O.T와 젝스키스의 라이벌 구도, MP3 대신 카세트테이프를 듣고, 삐삐를 주고받던 시절의 감성을 담아낸 이 드라마는, 90년대 청춘들의 삶을 생생하게 그려내며 많은 공감을 이끌어내어 이후 응답하라 시리즈를 연이어 만들어 낸 첫 작품이었던 이 드라마의 리뷰를 시작하겠습니다.
1. 줄거리
2012년, 고등학교 동창생들이 한 자리에 모이며 과거를 회상하는 방식으로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시청자들은 1997년으로 돌아가, 여주인공 시원과 친구들의 학창 시절을 함께 경험하며, 과거와 현재를 오가는 스토리를 통해 궁금증을 풀어나가게 됩니다. 성시원(정은지 분)은 부산에서 자란 18세 여고생으로, 열렬한 H.O.T 팬이며, 말투도 성격도 직설적이고 당돌한 인물입니다. 그녀의 옆에는 늘 유일한 남사친 윤윤제(서인국 분)가 함께합니다. 어릴 때부터 한 동네에서 함께 자란 두 사람은 티격태격하는 관계지만, 윤제는 오랫동안 시원을 좋아해 왔습니다. 하지만 시원은 그런 윤제의 마음을 알지 못한 채 팬 활동과 친구들과의 일상을 즐기며 살아갑니다. 1997년이라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시원과 친구들은 청춘의 한복판에서 사랑을 하고, 갈등을 겪고, 서로에게 상처를 주면서도 성장해 나갑니다.
그리고 2012년, 고등학교 친구들이 다시 모인 자리에서 이들 중 한 커플이 결혼을 발표하며 오랜 시간 묻혀 있던 비밀과 감정들이 다시 한 번 드러나게 됩니다.
2. 등장인물
성시원(정은지 분)
말투도 행동도 화끈한 부산 소녀로, H.O.T의 문희준을 열렬히 좋아하는 팬입니다. 아이돌을 향한 팬심이 인생의 전부인 듯하지만 친구들과 가족, 그리고 윤제와의 관계 속에서 점차 감정적인 성장을 하게 됩니다.
시원의 모습은 당시 1세대 아이돌 팬 문화의 모습을 그대로 반영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과 웃음을 선사했습니다.
윤윤제(서인국 분)
시원의 오랜 친구이자, 그녀를 오랫동안 짝사랑해 온 인물입니다. 똑똑하고 다정하지만, 시원이 자신을 오빠처럼만 생각하는 것에 속상해하며 애써 감정을 숨깁니다.
무뚝뚝한 듯하지만 언제나 시원의 곁을 지키며,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진심을 보여주는 캐릭터로, 많은 시청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강준희(호야 분)
윤제의 가장 친한 친구로, 다정하고 조용한 성격을 가졌습니다. 하지만 누구에게도 말하지 못한 비밀을 품고 있으며, 그로 인해 혼자서 깊이 고민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그의 스토리는 2012년 당시 드라마에서 잘 다루지 않던 소재를 다루며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모유정(신소율 분)
시원의 절친이자 젝스키스 팬으로, 시원과 늘 H.O.T vs. 젝스키스를 두고 티격태격합니다.
시원과의 우정을 통해 10대 시절의 감성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캐릭터로, 밝고 사랑스러운 매력이 돋보입니다.
도학찬(이시언 분)
친구들 사이에서 유쾌한 분위기를 이끄는 인물로, 특유의 넉살과 재치 있는 대사들이 극의 감초 역할을 합니다.
3. 명대사
"사랑이 뭔데? 사람이 사람 좋아하는 게 사랑이지."
윤제가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인정하는 순간, 나오는 대사로, 청춘의 솔직한 사랑을 대변하는 말입니다.
"덕질이 뭐냐고? 나한테는 사랑이고, 내 인생이고, 내 전부다."
시원의 대사로, 당시 1세대 아이돌 팬들의 뜨거운 팬심과 문화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말입니다.
"시간이 지나고 보니, 아무리 힘들어도 그때가 가장 좋았던 때였어."
청춘 시절을 떠올리며 하는 대사로, 누구나 한 번쯤은 공감할 수 있는 성장의 과정과 아련한 감성을 담고 있습니다.
"어른이 된다는 건, 내가 가지고 싶었던 걸 다 가질 수 없다는 걸 아는 거야."
성장과 현실을 이야기하는 대사로, 청춘에서 어른이 되어가는 과정의 씁쓸함을 보여줍니다.
4. 작품 메시지
응답하라 1997은 단순한 복고 드라마가 아니라, 시대를 초월한 청춘들의 이야기와 사랑, 우정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1990년대 후반의 문화를 완벽하게 재현하면서도, 10대 시절 누구나 겪어봤을 고민과 성장 과정을 현실적으로 담아내어 큰 공감을 얻었습니다. 이 드라마는 90년대를 경험한 세대에게는 향수를, 그 이후 세대에게는 신선한 재미를 선사하며, 세대를 아우르는 감동을 전합니다. 저(극 중 주인공들과 같은 나이) 역시 이 드라마를 보면서 "나에게도 저런 시절이 있었지"라는 생각을 하며 웃고 울었던 기억이 납니다.
마무리
응답하라 1997은 복고 감성과 현실적인 청춘 이야기가 조화를 이루며,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사랑과 우정, 그리고 성장의 과정을 그린 작품입니다. 단순히 90년대 문화를 추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세대를 초월한 감동과 공감을 전하는 드라마로 처음 본 사람도, 다시 보는 사람도 언제나 따뜻한 감정을 느낄 수 있습니다. 청춘의 소중함과, 그때만의 감정을 다시 느끼고 싶다면, 이 드라마를 꼭 한 번 감상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